제 6회 ESG 심포지엄
주제
제 6회 ESG 심포지엄 – ESG 기업공시 의무화와 발전방향
배경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의 비재무적 요소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상황 및 정부의 탄소중립 기조 속에서 향후 ESG 경영 및 투자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ESG 관련 공시 체계를 정립하려는 움직임이 국내외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은 지난 2021년 11월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SSB)를 설립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ESG 공시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는 금융위원회가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ESG 관련 규범을 국내에 일괄적으로 도입할 경우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CFA한국협회에서는 이번 ESG 심포지움을 통해서 ESG 정보공시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한 각계 실무자 의견을 수렴하고 ESG 공시의 중요성과 이슈에 대해서 토론해보고자 한다.
일시
4/14(목) 14:00~16:30
장소
웨비나 형식으로 진행
Moderator
- 김희은CFA, 명지대학교 교수
강사
- 정승혜 CFA, 모닝스타코리아 상무 (ESG서베이 결과발표)
- 오승재 전무, 서스틴베스트 총괄본부장 , 변호사
- 이상호 연구위원, Ph.D 자본시장연구원
- 최용환 팀장, NH아문디자산운용 ESG 리서치팀 팀장
- 조봉현 팀장, 한국거래소 ESG 지원팀 팀장
프로그램
- Keynote(1) 글로벌 ESG 공시의무화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과제 – 이상호 연구위원
- Keynote(2) ESG 공시 활성화와 기업의 바람직한 대응 전략 – 오승재 전무
- ESG Survey 결과 분석 – 정승혜 CFA
- Panel Session – ESG 공시의무화에 대하여 – 이상호 연구위원, 오승재 전무, 최용환 팀장, 조봉현 팀장
제 5회 ESG 심포지엄
주제
제 5회 ESG 심포지엄
배경
국내외의 ESG전문가 분들을 모시고 ESG가 기업 경영 및 투자에 있어서 필수적인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상황에서 CFA 한국 협회에서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서 전반적인 글로벌 ESG 트렌드 및 국내외 현황, 평가방법, 기후변화 등에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서 심도 있게 다루어 보고자 한다.
일시
4/22(목) 15:00~17:00
장소
웨비나 형식으로 진행
Moderator
- 김희은CFA, 명지대학교 교수
- 류정선 금융투자협회 과장
강사
- Rhodri Preece CFA, Senior Head of Industry Research for CFA Institute
- 정승혜 CFA, 모닝스타코리아 상무
- 이선경 대신지배구조연구소 본부장
- Mary Leung CFA, Head of Advocacy, APAC at CFA Institute
프로그램
- 투자 운용에 있어서 지속 가능성의 미래: ESG – Rhodri Preece CFA
- 글로벌 ESG시장의 발전 및 현황 – 정승혜 CFA
- ESG평가의 이해와 한국의 책임 투자 현황 – 이선경 본부장
- 투자 프로세스에 있어서 기후변화 분석 – Mary Leung CFA
제 4회 ESG 심포지엄
주제
제 4회 ESG 심포지움 – 기관투자자의 주주권행사와 주주관여활동 사례
배경
CFA한국협회에서는 제4회 ESG 심포지엄을 통해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가로 막는 법, 제도상 제약과 그 개선방안, 국내 주주 관여 활동 사례 발표와 토론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 현실과 개선방안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기업지배구조는 자본시장의 인프라인데, 글로벌 시각에서 평가한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 매우 심각한 수준(2018년 ACGA 발표에 따르면 아시아 12개국 중 9위로 말레이시아, 태국 보다 후진적)이다
일시
4/25(목) 12:00~13:00
장소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 901호
강사
- 김우찬 교수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경제개혁연구소 소장,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정책학 박사, 34회 행정고시 합격, 재정경제부 국제금융 서기관 역임
- 김봉기 대표 : 밸류파트너스자산운용
프로그램
- 11:40 ~ 11:55 등록 (간단한 점심 제공)
- 11:55 ~ 12:00 인사말
- 12:00 ~ 12:30 주제발표 :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가로막는 법 제도상 제약과 그 개선방안 (발표자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김우찬 교수)
- 12:30 ~ 13:00 사례 발표 및 Q&A : 주주 관여 활동 사례 발표 (발표자 : 밸류 파트너스 자산운용 김봉기 대표)
제 3회 ESG 심포지엄
주제
The 3rd ESG Symposium by CFA Society Korea – 차등의결권주식(Dual Class Shares)
배경
최근 국내에서도 차등의결권제도 도입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CFA한국협회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차등의결권주식 관련 주제발표 및 패널토의 등을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교환하고자 한다. 특히, 미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의 사례 및 만약 국내에 도입될 경우 자본시장 및 투자자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주게 될 것인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일시
2019년 1월 23일, 오전 11:30 – 오후 1:30
장소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 5층(501호)
Moderator
Rocky Tung – CFA 아시아본부 Director, Capital Market Policy
패널리스트
- 진익 –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과장
- 강석구 – 상공회의소 기업정책팀장
- 이원일 – 제브라자산운용 CEO
- 신진영 – 연세대학교 교수
프로그램
- 11:30 ~ 11:40 : 등록
- 11:40 ~ 11:45 : Opening
- 11:45 ~ 12:25 : (주제발표) The Good, The Bad, & The Ugly
- 12:25 ~ 13:25 : 패널토의 + Q&A
- 13:25 ~ 13:30 : Closing
제 2회 ESG 심포지엄

